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2024년 장마시기 장마기간 장마시작 장마종료(서울, 제주도, 부산, 강원도)

by 찌아*@ 2024. 5. 20.
반응형

일본기상청에서 서일본의 태평양 측에서 장마전선이 북상하면서 영향을 받아 비가 내린다고 합니다. 5월 21일부터는 오키나와는 장마에 들어간다고 하는데요, 일본이 남쪽이기 때문에 장마가 시작되면 점차 우리나라에도 영향을 줄것으로 보입니다. 2024년 올해 우리나라의 장마시기 장마기간 장마시작 장마종료에 대하여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2024년 장마시기 장마기간 장마시작 장마종료(서울, 제주도, 부산, 강원도)

2024년 장마시기 장마기간 장마시작 장마종료(서울, 제주도, 부산, 강원도)

반응형

여름이 다가오기전에 기상청에서 장마를 먼저 예보를 했던 기억이 남아 있는데요, 하지만 그것도 자주 예측을 벗어나면서 기상청에서는 2009년 이후에 장마예보를 중단하였습니다. 그래도 2009년도 이전까지는 어느정도 기상처에서 예상을 해줘서 틀리더라도 예상이 가능했지만, 지금은 6~7월에 나타나는 것을 대충 이해하고, 구체적인 시기는 임박을 해야 기상청에서 예보를 하고 있습니다. 이 포스팅에서 예상하는 것은 예측이 아닌 과거 기록에 의한 통계적인 예상이고, 가장 정확한것은 기상청에서 예보를 할때 그자료를 파악해야 겠습니다. 

 

다만 최근에 발표한 장기 전망(3개월전망, 24년 4월 23일 발표)을 보면 장마가 오는 6월과 7월의 강수 전망을 보면 6월에는 평년과 비슷할 확률이 50%, 7월은 평년과 비슷하거나 많을 확률이 각각 40%라는 발표를 했습니다.  강수량이 평년과 비슷하다는 말은 한번에 내리는 폭우가 많을 수도 있는 것이고, 강수가 내리는 기간이 평년과 비슷하거나 길수 있다는 확률도 있어 보입니다. 

 

기상청에서 설명하는 장마는 우리나라 6월 하순부터 7월 하순까지 계속해서 많이 내리는 비로, 기상학적으로는 장마전선의 영향을 받아 내리는 비를 말합니다. 

2024년 장마기간 확인하기

 

장마시기 장마기간 강수량 예상해보기

반응형

최근 10년간 기록된 자료를 바탕으로 너무 극단값은 제외하고 다음 자료를 분석해봤습니다. 

2024년 장마기간 예상시기
지역  장마시작 시기 장마종료 시기 (예상) 강수량
중부지방
(수도권, 강원권, 충청권)
6월23일 ~ 7월 3일 7월 19일 ~ 8월 4일  138mm~594mm
남부지방
(경상권, 전라권)
6월18일 ~ 7월 3일 7월16일 ~ 7월 31일  151mm~586mm
제주지방
(제주, 서귀포)
6월18일 ~ 7월 3일  7월 16일 ~ 7월 28일 114mm~591mm

 

장마전선이 어떻게 형성되는가에 따라서 시작의 위치가 달라지긴합니다. 대부분은 남쪽의 따뜻한 북태평양 고기압이 올라오면서 만들어지기 때문에 제주도에서 가장먼저 장마가 시작됩니다. 일반적으로는 제주도에서 장마가 시작하여 남쪽을 거쳐 중부지방까지 올라오는것이 가장 일반적인 패턴이긴하지만, 제주도와 중부지방까지 동시에 시작하는 경우도 있고 제주도에서 지작해서 남부지방을 지나쳐 중부지방에서 먼저 오기도 한적이 있었습니다. 

 

(그전에 일본 장마 뉴스도 참고 해보시면 사전에 대비하는데는 도움이 될것 같습니다.)

일단 제주도에서 장마가 시작하면 이제 오겠다는 것을 알고계시면 됩니다. 

 

장마시기 평년자료와 최근10년자료 그리고 작년자료 분석해보기

반응형
지역 평년 최근10년(14년~23년) 작년 
중부지방 (시작) 6월 25일 
(종료) 7월 26일
(강수량) 378.3mm
(시작) 6월 23일 ~ 7월3일
(종료) 7월 11일 ~ 8월 16일 
(시작) 6월 26일
(종료) 7월 26일
남부지방 (시작) 6월 23일
(종료) 7월 24일
(강수량) 341.1mm
(시작) 6월 18일 ~ 7월3일
(종료) 7월 9일 ~7월 31일
(시작) 6월 25일
(종료) 7월 26일
제주지방 (시작) 6월 19일
(종료) 7월 20일
(강수량) 348.7mm
(시작) 6월 10일 7월3일
(종료) 7월 9일 ~ 7월 28일
(시작) 6월 25일
(종료) 7월 25일

 

평년날짜를 보더라도, 위에서 말씀 드렸던 것처럼 일반적으로는 제주도가 먼저 시작하여 남부지방을 지나 중부지방에서 시작하는 것이 일반적인 패턴입니다. 하지만, 작년같은 경우에는 제주도와 남부지방이 같이 시작해서 하루뒤인 중부지방도 시작하였던것 처럼 우선 제주도에서 가장먼저 시작한다는 사실은 변함이 없었습니다. 

 

기상청 3개월 전망 분석

반응형

기상청에서 2024년 4월 23일에 발표한 3개월전망을 보면서 알아보겠습니다. 당연히 3개월 전망 같은경우 확률적으로 예뽀를 설명한 것이기 때문에 정확히 비가 언제와서 언제 끝나고 강수량이 많다 적다의 단정적인 예측은 어렵겠습니다. 다만 비올 확률이 높다는 것은 한번에 내리는 강수량이 많을 것일 수도있고, 장마철 기간이 길어서 많이 내리는 것일수도 있기때문에 지금은 한번에 많이 내린는 것은 배제하고, 오랜기간동안 내릴수 있다는 것을 가정해서 알아보겠습니다 .



 

 

다음 발표 자료를 보면, 6월에는 강수량이 평년과 비슷할 확률이 50% 그렇다면 평년과 비슷하게 장마가 시작할 가능성이 있다는 것으로도 생각을 할수가 있을텐데요,

(장마시작) 중부지방 평년시작은 6월 25일, 남부지방 평년시작은 6월 23일, 제주지방 평년시작은 6월19일인것을 보면 우리나라에는 6월 19일 ~ 6월 25일에는 장마가 시작할 가능성이 있어 보입니다. 

(장마종료) 7월 발표 자료를 보면, 평년과 비슷하거나 많을 확률이 40%다 라는 것은 한번애 많이 내리는 양이 많다는 것일수도 있지만, 그런 가정은 배제하고 날짜가 비슷하거 늘어질수있다는 쪽으로 해석을 해보면 7월 20일~ 7월 26일 보나 조금더 늦게 까지 내릴수도 있을 가능성이 있어보입니다. 정말 극단적으로 8월을 넘길수도 있겠지만, 최근 경향으로 늦게까지 생각을 해본다면 7월 31일까지는 올 가능성이 있어 보입니다. 

 

 

 

장마기간 장마시기 장마특징 알아보기

반응형

장마(Changma)는 우리나라의 주요 강수시기로, 동아시아 몬순(East Asian monsoon) 시스템의 일부입니다. 여름철 우리나라를 포함하는 동아시아 지역은 남쪽의 온난습윤한 공기와 북쪽의 찬 공기가 만나서 형성되는 정체전선의 영향을 받게 되는데요, 이 전선이 걸쳐 있는 지역에는 강한 남서풍으로부터 습윤한 공기의 유입량이 증가하고 장기간 많은 양의 비가 내리게 됩니다. 이렇게 우리나라에서 장마라고 부르는 비는, 중국의 경우 메이유(Meiyu, 梅雨), 일본에서는 바이우(Baiu, 梅雨) 라고 부릅니다. 매화나무의 열매인 매실이 5, 6월 열릴 때 내리는 비를 의미하는데요, 기후학적으로 6월 하순 우리나라 주변으로 상층 제트 기류가 북상하여 강한 경압불안정이 형성되며, 북태평양 고기압의 본격적인 발달과 함께 하층 남서풍에 의해 유입되는 습윤한 공기가 모이고 상승하면서 장마가 시작된다고 합니다.

 

최근 30년 기후 평균으로 보면 장마는 6월 19일에 제주도에서 시작되며, 남부 지방에서는 6월 23일 경, 중부 지방에서는 6월 25일에 장마가 시작됩니다. 이후 북태평양 고기압이 점차 북상하고 7월 26일 경에 중부지방에서 가장 늦게 장마가 종료되어, 전국적으로 약 32일의 장마철이 나타나는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후 우리나라는 북태평양 고기압 세력 하에 강수 휴지기에 놓이게 되며 무더위가 기승을 부리는데요, 이후 계절 사이클에 의해 북태평양 고기압이 약해져 물러나면서 두 번째 강수 피크가 나타나게 되며, 대체로 9월 중순까지 앞선 장마 기간과는 또 다른 우기를 겪게 됩니다.

 

장마 영향을 주는 기단의 특징

반응형

장마철 기단, 출처 : 기상청


가) 열대수렴대의 서쪽 끝부분 및 우리나라 남서쪽에 위치한 고온 다습한 열대몬순 기압골과 관련된 기단
 나) 우리나라 남동쪽에 위치한 온난한 기단으로, 열대 몬순 기단보다는 수증기량이 적은 북태평양 고기압과 관련된 기단 

 다) 우리나라 북동쪽에 위치한 한랭습윤한 오호츠크해 기단
 라) 우리나라 북서쪽에 위치한 상대적으로 고온건조한 대륙성 기단
 마) 우리나라 북쪽 고위도의 한대성 극기단

 

 

과거 73년 이후 총 기준 빠른장마, 늦은 장마

가) 중부지방
- 장마 시작 : 가장 빨리 시작한 때는 1984년 6월 15일이었습니다. 가장 늦게 시작한 때는 1982년 7월 10일이었습니다.
- 장마 종료 : 가장 빨리 종료한 때는 1973년 6월 30일이었습니다. 가증 늦게 종료한 때는 2020년 8월 16일이었습니다.
- 장마기간 : 최장 2020년 6월 24일 ~ 2020년 8월 16일(54일), 최단 1973년 6월 25일 ~ 1973년 6월 30일(6일).

나) 남부지방
- 장마 시작 : 가장 빨리 시작한 때는 2011년 6월 10일이었습니다. 가장 늦게 시작한 때는 1992년 7월 9일이었습니다.
- 장마 종료 : 가장 빨리 종료한 때는 1973년 6월 30일이었습니다. 가증 늦게 종료한 때는 1987년 8월 8일이었습니다.
- 장마기간 :  최장 2013년 6월 18일 ~ 2013년 8월 2일(46일), 최단 1973년 6월 25일 ~ 1973년 6월 30일(6일).
 
다) 제주지방
- 장마 시작 : 가장 빨리 시작한 때는 2020년 6월 10일이었습니다. 가장 늦게 시작한 때는 1982년 7월 5일이었습니다.
- 장마 종료 : 가장 빨리 종료한 때는 1994년 7월 1일이었습니다. 가증 늦게 종료한 때는 2009년 8월 3일이었습니다.
- 장마기간 : 최장 2020년 6월 10일 ~ 2020년 7월 28일(49일), 최단 1973년 6월 25일 ~ 1973년 7월 1일(7일).
 

최근 10년(13년 ~ 23년) 기준 빠른 장마, 늦은 장마 24년도 간단 예측

기본적으로 평균과 평년값이 기상뿐만 아니라 어디에서 유용하게 사용하는 통 자료이지만, 최근 기후변화로 인하여 기상현상을 과거에서 나타나지 않았던 것들이 발생하기 때문에 최근 10년의 자료를 찾아보는 것도 좋습니다.가

 

1) 중부지방
a. 장마 시작 : 가장 빨리 시작한 때는 2013년 6월 17일이었습니다. 가장 늦게 시작한 때는 2021년 7월 3일이었습니다.
b. 장마 종료 : 가장 빨리 종료한 때는 2018년 7월 11일이었습니다. 가장 늦게 종료한 때는 2020년 8월 16일이었습니다.
c. 장마기간 : 최장 2020년 6월 24일 ~ 2020년 8월 16일(54일), 최단 2018년 6월 26일 ~ 2018년 7월 11일(16일).

2) 남부지방
a. 장마 시작 : 가장 빨리 시작한 때는 2016년 6월 18일이었습니다. 가장 늦게 시작한 때는 2021년 7월 3일이었습니다.
b. 장마 종료 : 가장 빨리 종료한 때는 2018년 7월 9일이었습니다. 가증 늦게 종료한 때는 2013년 8월 2일이었습니다.
c. 장마기간 : 최장 2013년 6월 18일 ~ 2013년 8월 2일(46일), 최단 2018년 6월 26일 ~ 2018년 7월 9일(14일).
 
3) 제주지방
a. 장마 시작 : 가장 빨리 시작한 때는 2020년 6월 10일이었습니다. 가장 늦게 시작한 때는 2021년 7월 3일이었습니다.
b. 장마 종료 : 가장 빨리 종료한 때는 2018년 7월 9일이었습니다. 가증 늦게 종료한 때는 2020년 7월 28일이었습니다.
c.  장마기간 : 최장 2020년 6월 10일 ~ 2020년 7월 28일(49일), 최단 2021년 7월 3일 ~ 2021년 7월 19일(17일).
 

장마기간 집중호우의 특성 알아보기

1) 한반도 일반강수 발생 빈도는 해안보다 내륙에서 높게 나타난다고 합니다.

2) 한반도집중호우 발생빈도는 경기 및 영서지방과 제주 및 남해안부근에서 높게 나타난다.

3) 영동·경북지역, 경남북부 내륙에서 집중호우 일수가 적습니다. 

4) 최근 30년간의 월별 호우 통계에 따르면, 3시간 강수량 기준 집중호우와 일강수량 기준 호우의 발생 집중도는 7~8월에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9월과 6월 순으로 뒤를 잇습니다.

5) 관측소당 평균 호우 발생횟수의 측면에서는 일반적으로 중부지방에서는 7~8월, 남부지방에서는 6, 9월에 더욱 빈번하게 나타 납니다.

6) 최근 10년간 강수 빈도는 이전에 비해 전국적으로 감소하였지만, 호우 및 집중호우 발생빈도는 지역에 따라 증가한 곳도 있습니다.

 

 

장마철 유의사항 알아보기

반응형

장마철은 비가 자주 내리는 기간이기 때문에 다양한 위험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다음 상황들을 미리 알아두고 위험에 대비 하시기 바랍니다.

1) 홍수 대비: 강물이 범람하여 지역에 큰 피해를 줄 수 있습니다. 미리 홍수 위험 지역을 파악하고 대비책을 마련해야 합니다.

2) 산사태 대비: 비가 많이 내리면 산지에서 산사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산사태가 발생할 위험이 있는 지역에서는 안전한 곳으로 대피해야 합니다.

3) 교통사고 대비: 비로 인해 도로가 미끄러워져 교통사고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운전 시 속도를 줄이고 안전거리를 유지해야 합니다.

4) 전기사고 대비: 비가 내리는 동안 전기 사용에 주의해야 합니다. 전기용품 사용 시 발열과 단락 등으로 인한 화재와 감전 사고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5) 건강 대비: 비가 많이 내리는 날씨는 습도가 높아지고 곰팡이나 집먼지 등이 증가하여 호흡기 질환 등 건강 문제가 생길 수 있습니다. 이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실내 환기와 청소, 마스크 착용 등이 필요합니다.

6) 토지침하 대비: 비가 내리면 토지가 약해지고 침하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경우 건물이 기울거나 꺼짐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합니다.

7) 교통 불편: 비가 많이 내리면 대중교통이 불편해질 수 있습니다. 출퇴근 시간을 조정하거나 미리 대중교통 정보를 파악하여 이동 계획을 세워야 합니다. 이러한 위험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미리 대비책을 마련하고, 일상생활에서 주의를 기울이는 것이 중요합니다.

8) 쓰레기 배출 줄이기: 음식물 쓰레기, 일반 재활용 쓰레기 등을 포함해 폭우 시 집 안에서 불필요하게 배출되는 생활 오수를 줄이는 것만으로도 폭우로 인한 피해를 줄일 수 있습니다.

9) 하수구 점검하기: 장마기간이 시작하기 전부터 반지하 등 침수우려가 있는 세대는 하수구와 배수구가 막혀 있지 않은 지 확인할 필요가 있습니다. 옥상에 거주하는 분들도 마찬가지 입니다. 하수구가 막히면 빗물이 흘러나가지 못하고 고이 거나 역류하여 침수 피해가 발생하게 됩니다.

10) 차량점검

- (공기압체크) 이어 공기압이 낮으면 수막현상 발생이 커지므로 경고등이 작동하기 전에 공기압을 충분히 넣 은 후에 운행해야 합니다.

- (타이어 체크)타이어가 마모될수록 수막현상 발생률이 높기 때문에 타이어 마모 여부를 확인 후 교체하는 게 좋습니다.

 

장마철 차량침수 예방

반응형

장마가 시작되면 차량 침수사고들이 많이 일어나는데요. 이런 경우에는 안전한 곳으로 대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 침수도로 및 지하차도에는 절대 진입하지 말아야 합니다

- 차량 내부에 물이 들어오는 등의 침수사고가 발생했을 경우 절대 시동을 켜서는 안됩니다.

=  불법주차나 창문, 선루프 개방 및 저지대 주차 등은 운전자 과실로 인정해 손해배상을 받지 못합니다 • 많은 비가 예상될 때는 가능한 가장 높은 지대로 이동하여 주차하시는 편이 좋습니다.

 

 장마철  집에서하는 예방법

반응형

- 집안에 습도가 올라가면서 곰팡이가 생기기 좋은 환경으로 변하게 됩니다.

- 빨래를 하고 옷장이나 신발장에 넣을 때 바짝 건조 후 넣어두는 것이 좋습니다

- 신문지를 깔아주면서 제습을 하는 것이 좋습니다

- 방이나 화장실의 하수구에 기압이 낮아지면서 냄새가 확산되기 쉽습니다 물때 제거와 식초로 청소를 하는 것 이 좋습니다 

- 장마 전 미리 누전차단기 점검을 하면 낙뢰와 같은 현상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 제습기를 항시 가동해 곰팡이가 생기기어려운 환경을 만드는 것이 좋습니다.

 

    장마가 끝난후 정말 무더위가 찾아올때 필요한 정보는 다음을 참고해보세요~~~    

 

2024년 열대야 기준, 올해 열대야 언제 끝날까? 무더위 언제까지?

따뜻한 봄의 기운이 지나고, 여름이 다가오면 가장 걱정되는 것음 바로 무더위가 아닌가 싶습니다. 기후변화가 계속해서 나타나면서 여름이 길어지는것 같은데요, 이렇게 여름이 뜨거워지면 폭

bighand8772.tistory.com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