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2024년 장마기간 장마시작 올해 장마철 시기 예상 6월 날씨 7월 날씨(최신)

by 찌아*@ 2024. 6. 11.
반응형

장마는 우리나라에서 대표적으로 여름철에 나타나는 강수 현상, 기상현상입니다. 대표적인 여름철 기상현상으로 한반도의 경우 장마전선에서 발생하는 장마의 강수량이 1년대비 강수량의 절반이상을 차지한다고 합니다. 2024년 장마철 강수량 올해 장마철 시기에 대사여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2024년 장마기간 장마시작 올해 장마철 시기 예상

2024년 장마기간 장마시작  올해 장마철 시기 예상 6월 날씨 7월 날씨(최신)

과거 2000년도까지는 기상청에서 장마예상시기를 발표했었지만, 기후변화로 이한 장마의 형태 변화등으로 불확실성이 늘어나는 상황속에서 기상청이 발표를 하지 않는 장마 시기를 어떻게 하면 알수 있을까 고민한 끝에, 과거 통계적으로 나타났던 시기를 분석해서 대략적으로 나타날수 있는 시기를 알아보면 될것 같은 생각에 포스팅을 시작해봤습니다. 하지만 다른 포스팅이나 다른 싸이트에서 이미 확정적인 수치로 기간을 말을 하고 있지만, 최종적으로는 기상청에서발표하지 않은 내용은 예보 또는 예측이라고 할 수없습니다. 기상청에서 6월 말부터 7월 초 사이에 장마가 시작했다는 이야기를 하겠지만, 지금은 그전에 어제쯤 알수 있을까에 대한 호기심을 풀어보도로 하겠습니다. 

 

2024년 장마예상시기 장마시작 시기

우리나라 장마시작은 보통 일본 오키나와보다 약 한달 이상 늦게 시작을 한다고 합니다. 오키나와의 장마 시작이 5월 21일에 시작을 하였는데, 평년보다 열흘 가량 늦게 시작되었다고 합니다. 기상청에서 최근 발표한(5월 23일) 3개월 전망을 살펴 보면 6월에는 강수량이 평년과 비슷할 확률이 50%라고 하고, 7월 강수량은 평년과 비슷하거나 많을 확률이 각 40%라고 발표를 했습니다. 우선 일본이 열흘이나 늦게 시작을 한것을 봤을때 우리나라도 평년보다 일찍 오기보다는 평년과 비슷하거나 조금 늦게 발생하지 않을까 합니다.  

 

최근 일본의 경향과 우리나라 기상청 발표를 봤을때 평년과 비슷하거나 조금 늦게 시작 하지 않을까 합니다. 따라서 우리나라 평년 장마시작을 보면, 

 

1) 제주지방 장마시작(예상):  (평년) 6월 19일 시작 + 늦어진 일본 경향을 참고하면, 예상시작일은 6월 19일 ~ 6월 24일  

2) 남부지방 장마시작(예상): (평년) 6월 23일 시작 + 늦어진 일본 경향을 참고하면, 예상시작일은 6월 23일 ~ 6월 27일 

3) 중부지방 장마시작(예상): (평년) 6월 25일 시작 + 늦어진 일본 경향을 참고하면, 예상시작일은 6월 25일 ~ 6월 28일 

 

다시 정리하면, 평년과 비슷하거나 일본처럼 조금 씩 늦어지는 경향을 반영하면

제주지방 예상 장마시작은 6월 19일 ~ 6월 24일

남부지방 예상 장마시작은 6월 23일 ~ 6월 27일

중부지방 예상 장마시작은 6월 25일 ~ 6월 28일

 

2024년 작년 장마 통계자료 확인하기(2023년)

작년인 2023년의 장마철 전국 강수량은 660.2 mm로 1973년 이래 세 번째로 많았습니다. 특히, 남부지방은 712.3 mm의 많은 비가 내려 역대 1위를 기록하였습니다. 2023년 년초만해도 가뭄이 길게 이어진다고 하다가 장마철에 비가 많이 내려서 오히려 가뭄걱정은 해소가 된반면,  장마로 인한 피해가 나타났었습니다. 기상청에서 발표한 자료를 확인해보면 2023년 장마의 시작은 제주도, 남부지방, 중부지방 세 구간으로 확인이 가능합니다.

 

 1) 제주지방(제주시, 서귀포시) : (2023년) 6월 25일에 시작해서 7월 25일까지 비가 내렸습니다. 30년 평년값을 보면 6월 19일에 시작하여 7월 20일에 종료하였습니다. 평균적 강수량 348.7mm.

 

 2) 남부지방(부산, 울산, 대구, 경북, 경남, 광주, 전남, 전북) : (2023년) 6월 25일에 시작해서 7월 26일까지 비가 내렸습니다. 30년 평년값을 보면 6월 23일에 시작하여 7월 24일에 종료하였습니다. 평균적 강수량 341.1mm.

 

 3) 중부지방(서울, 인천, 경기, 강원도, 충북, 충남, 대전, 세종)  : (2023년) 6월 26일에 시작해서 7월 26일까지 비가 내렸습니다. 30년 평년값을 보면 6월 25일에 시작하여 7월 26일에 종료하였습니다. 평균적 강수량 378.3mm.

 

작년에 나타난 장마의 특징은, 북태평양 고기압 가장자리를 따라 고온다습한 남서풍이 자주 불어들었고, 북쪽의 상층 기압골에서 유입된 찬 공기가 자주 충돌하면서 저기압과 장마전선이 더욱 강화되어서 많은 비를 내렸습니다.

 

2024년 장마 특성 분석을 위한 장마의 발생원인

대한민국 여름철 장마 기간에 한반도 주변의 대기 하층부에서는 해양에서 대륙으로의 습윤한 공기 유입이 매우 활발하게 일어납니다. 이렇게 확장을 하면서 , 북태평양 고기압의 가장자리를 돌아 불어오는 남서·남동풍 계열의 기류와 멀리 벵골만과 동남아시아를 거쳐 동중국해를 거쳐 불어오는 해양성 기류의 영향을 동시에 받게되는데요, 때로는 인도양 쪽에서 불어오는 남서기류가 북태평양 고기압을 따라 부는 남서기류와 합류하여 한반도 장마에 영향을 주게 됩니다.  그리고 북태평양 고기압 세력의 변화는 정체전선의 지속과 활동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고 있습니다. 

 

 

 

장마철 영향을 주는 기단, 출처 : 기상청

 

 

북태평양에 중심을 잡은 고기압이 동아시아 대륙이 있는 서쪽으로 세력을 확장하면 고기압 가장자리의 바로 북쪽에 놓여있는 정체전선이 더 잘 유지가 되고 전선의 위치도 한반도를 걸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러나 북태평양 고기압 세력이 약화할 경우 정체전선 지역으로의 습윤한 공기 유입이 상대적으로 약하여 정체전선이 일시적으로 소멸하기도 합니다. 혹은 전선이 한반도 이남으로 크게 남하하여, 한반도 지역이 전선의 영향권 밖에 머무르는 경우가 발생하기도 하는데요, 본격적으로 장마가 시작된 이후라고 할지라도 중간에 소강상태에 나타나는 이유는 이처럼 북태평양 고기압의 세력이 장마를 많이 좌우하게 됩니다.

 

정체전선의 유지에는 상층의  공기의 흐림의 역할도 큽니다. 한반도 상공의 서쪽에서 동쪽으로 부는 제트기류는 아시아 여름 몬순이 활발할수록 더 강해지는 경향이 있으며, 이는 제트기류의 강도가 티베트 고원지대의 가열과 깊은 관련성이 있기 때문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태양 일사에 의한 티베트 고원지대의 가열이 활발해지면 대기 연직층이 더욱 두꺼워지고, 이로 인해 티베트 고원지대와 그 북쪽 지역은 상층에 큰 기압경도력이 발생하여 강한 서풍계열의 기류가 만들어 진다. 상층기류가 통과할 때 한반도는 상층 기압골의 동쪽에 놓이는 경우가 많기 때문입니다. 대기 운동 이론에 근거할 때 상층 기압골의 동쪽은 공기가 흩어지는 발산 지역으로 이를 보충하기 위해 상승류가 하층으로부터 올라가는데요,. 즉, 한반도로 유입된 습윤한 해양성 기류가 상승하여 응결과 강수 과정으로 이어져 많은 비가 내리게 됩니다.

 

2023년 장마철 전국 강수량은 660.2 mm로 1973년 이래 세 번째로 많았다고 합니다. 특히, 남부지방은 712.3 mm의 많은 비가 내려 역대 1위를 기록하였습니다. 2023년 년초만해도 가뭄이 길게 이어진다고 하다가 장마철에 비가 많이 내려서 오히려 가뭄걱정은 해소가 된반면,  장마로 인한 피해가 나타났었습니다. 기상청에서 발표한 자료를 확인해보면 2023년 장마의 시작은 제주도, 남부지방, 중부지방 세 구간으로 확인이 가능합니다.

 

 1) 제주도지방 : (2023년) 6월 25일에 시작해서 7월 25일까지 비가 내렸습니다. 30년 평년값을 보면 6월 19일에 시작하여 7월 20일에 종료하였습니다. 평균적 강수량 348.7mm.

 

 2) 남부지방(부산, 울산, 대구, 경북, 경남, 광주, 전남, 전북) : (2023년) 6월 25일에 시작해서 7월 26일까지 비가 내렸습니다. 30년 평년값을 보면 6월 23일에 시작하여 7월 24일에 종료하였습니다. 평균적 강수량 341.1mm.

 

 3) 중부지방((서울, 인천, 경기, 강원도, 충북, 충남, 대전, 세종)  : (2023년) 6월 26일에 시작해서 7월 26일까지 비가 내렸습니다. 30년 평년값을 보면 6월 25일에 시작하여 7월 26일에 종료하였습니다. 평균적 강수량 378.3mm.

 

작년에 나타난 장마의 특징은, 북태평양 고기압 가장자리를 따라 고온다습한 남서풍이 자주 불어들었고, 북쪽의 상층 기압골에서 유입된 찬 공기가 자주 충돌하면서 저기압과 장마전선이 더욱 강화되어서 많은 비를 내렸다고 합니다. 

 

평년장마 통계자료 확인하기(평년값, 가장 빠른 장마, 가장 늦은 장마)

우선 기상청에서 예전에는 장마 예보를 하였으나 기후변화의 영향으로 장마의 예측이 무의미해지면서 장바 시작과 종료는 발표하지만 예상시기 발표를 하지 않게 되었습니다. 그래서 우리가 지금 알기 위해서는 과거자료를 분석해서 통계적으로 판단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1)  평년(30년/1991~2020년)년 기간자료 분석

1) 중부지방(서울특별시, 경기도, 인천광역시, 강원도, 대전광역시, 세종특별자치도, 충청도) 장마 평년값

  - 평년 강수량 : 378.3mm 입니다.

  - 평년 강수일수 : 17.7일입니다.

  - 평년 시작일/종료일 : 6월 25일/ 7월 26일이 되겠습니다.

 

2) 남부지방(대구광역시, 경상도, 전라도, 광주광역시, 부산광역시, 울산광역시) 장마 평년값

 - 평년 강수량 : 341.1mm 입니다.

 - 평년 강수일수 : 17.0일입니다.

 - 평년 시작일/종료일 : 6월 23일/7월 24일이 되겠습니다.

 

3) 제주지방(제주시, 서귀포시) 장마 평년값

 - 평년 강수량 : 348.7mm 입니다.

 - 평년 강수일수 : 17.5일 입니다.

 - 평년 시작일/종료일 : 6월 19일/ 7월 20일이 되겠습니다.

 

4) 전국 장마 평년값

 - 평균 강수량 : 356.7mm 입니다.

 - 강수일수 : 17.3일 입니다.

 

2) 1973년 이후 총 기준 빠른 장마와 늦은 장마 분석

1) 중부지방(서울특별시, 경기도, 인천광역시, 강원도, 대전광역시, 세종특별자치도, 충청도) 

  가. 장마 시작: 가장 빨리 시작한 때는 1984년 6월 15일 이었습니다. 가장 늦게 시작한 때는 1982년 7월 10일 이었습니다.

  나. 장마 종료: 가장 빨리 종료한 때는 1973년 6월 30일 이었습니다. 가증 늦게 종료한 때는 2020년 8월 16일 이었습니다.

  다. 장마 기간: 최장 2020년 6월 24일 ~ 2020년 8월 16일(54일), 최단 1973년 6월 25일 ~ 1973년 6월 30일(6일).

  라. 의견 : 30년 평균적인 자료를 살펴 보았을때, 대략적으로 중부지방은 6월 15일 ~ 7월 19일에 시작을 할 것으로 보이고, 6월 30일 ~ 8월 16일 안에는 종료하는 것으로 예상됩니다.

 

2) 남부지방(대구광역시, 경상도, 전라도, 광주광역시, 부산광역시, 울산광역시)

 가. 장마 시작 : 가장 빨리 시작한 때는 2011년 6월 10일이었습니다. 가장 늦게 시작한 때는 1992년 7월 9일이었습니다.

 나. 장마 종료 : 가장 빨리 종료한 때는 1973년 6월 30일이었습니다. 가증 늦게 종료한 때는 1987년 8월 8일이었습니다.

 다. 장마기간 : 최장 2013년 6월 18일 ~ 2013년 8월 2일(46일), 최단 1973년 6월 25일 ~ 1973년 6월 30일(6일).

 라. 의견 : 30년 평균적인 자료를 살펴 보았을때, 남부지방은 6월 10일 ~ 7월 9일에 시작을 할 것으로 보이고, 6월 30일 ~ 8월 8일 안에는 종료하는 것으로 예상됩니다.

 

3) 제주지방(제주시, 서귀포시)

 가. 장마 시작 :가장 빨리 시작한 때는 2020년 6월 10일이었습니다. 가장 늦게 시작한 때는 1982년 7월 5일이었습니다.

 나. 장마 종료 : 가장 빨리 종료한 때는 1994년 7월 1일이었습니다. 가증 늦게 종료한 때는 2009년 8월 3일이었습니다.

 다. 장마기간 : 최장 2020년 6월 10일 ~ 2020년 7월 28일(49일), 최단 1973년 6월 25일 ~ 1973년 7월 1일(7일).

 라. 간단의견 : 30년 평균적인 자료를 살펴 보았을때, 제주지방은 6월 10일 ~ 7월 5일에 시작을 할 것으로 보이고, 7월 1일 ~ 8월 3일 안에는 종료하는 것으로 예상됩니다.

 

최근 10년(13년 ~ 23년) 기준 빠른 장마,  늦은 장마 24년도 간단 예측

기본적으로 평균과 평년값이 기상뿐만 아니라 어디에서 유용하게 사용하는 통 자료이지만, 최근 기후변화로 인하여 기상현상을 과거에서 나타나지 않았던 것들이 발생하기 때문에 최근 10년의 자료를 찾아보는 것도 좋습니다.

 

1) 중부지방(서울특별시, 경기도, 인천광역시, 강원도, 대전광역시, 세종특별자치도, 충청도) 

- 장마시작 : 가장 빨리 시작한 때는 2013년 6월 17일이었습니다. 가장 늦게 시작한 때는 2021년 7월 3일이었습니다.

- 장마종료 : 가장 빨리 종료한 때는 2018년 7월 11일이었습니다. 가장 늦게 종료한 때는 2020년 8월 16일이었습니다.

- 장마기간 : 최장 2020년 6월 24일 ~ 2020년 8월 16일(54일), 최단 2018년 6월 26일 ~ 2018년 7월 11일(16일).

-  최근 10년자료를 바탕으로 중부지방은 6월 17일 ~ 7월 3일에 시작을 할 것으로 보이고, 7월 11일 ~ 8월 16일 안에는 종료하는 것으로 예상됩니다.

 

2) 남부지방(대구광역시, 경상도, 전라도, 광주광역시, 부산광역시, 울산광역시)

- 장마시작 : 가장 빨리 시작한 때는 2016년 6월 18일이었습니다. 가장 늦게 시작한 때는 2021년 7월 3일이었습니다.

- 장마종료 : 가장 빨리 종료한 때는 2018년 7월 9일이었습니다. 가증 늦게 종료한 때는 2013년 8월 2일이었습니다.

- 장마기간 : 최장 2013년 6월 18일 ~ 2013년 8월 2일(46일), 최단 2018년 6월 26일 ~ 2018년 7월 9일(14일).

- 최근 10년자료를 바탕으로 남부지방은 6월 17일 ~ 7월 3일에 시작을 할 것으로 보이고, 7월 9일 ~ 8월 2일 안에는 종료하는 것으로 예상됩니다.

 

3) 제주지방(제주시, 서귀포시)

- 장마시작 : 가장 빨리 시작한 때는 2020년 6월 10일이었습니다. 가장 늦게 시작한 때는 2021년 7월 3일이었습니다.

- 장마종료 : 가장 빨리 종료한 때는 2018년 7월 9일이었습니다. 가증 늦게 종료한 때는 2020년 7월 28일이었습니다.

- 장마기간 : 최장 2020년 6월 10일 ~ 2020년 7월 28일(49일), 최단 2021년 7월 3일 ~ 2021년 7월 19일(17일).

- 최근 10년자료를 바탕으로 제주지방은 6월 10일 ~ 7월 3일에 시작을 할 것으로 보이고, 7월 9일 ~ 7월 28일 안에는 종료하는 것으로 예상됩니다.

 

1973년 이후부터 작년까지 연도별 장마 시종시기를 정리 입니다. 

연도별 장마 시종시기 및 기간(1973~2023), 출처:기상청
연 도 중부 남부 제주
시작일 종료일 기간 시작일 종료일 기간 시작일 종료일 기간
1973 6.25 6.30 6 6.25 6.30 6 6.25 7.01 7
1974 6.17 7.31 45 6.16 7.31 46 6.16 7.31 46
1975 6.23 7.29 37 6.21 7.28 38 6.17 7.28 42
1976 6.21 7.17 27 6.17 7.16 30 6.17 7.17 31
1977 6.23 7.19 27 6.22 7.19 28 6.15 7.19 35
1978 6.17 7.20 34 6.15 7.21 37 6.15 7.20 36
1979 6.19 7.23 35 6.19 7.23 35 6.15 7.23 39
1980 6.16 7.30 45 6.16 7.30 45 6.16 7.31 46
1981 6.17 7.14 28 6.19 7.14 26 6.19 7.14 26
1982 7.10 7.29 20 7.07 7.29 23 7.05 7.29 25
1983 6.19 7.25 37 6.19 7.24 36 6.19 7.23 35
1984 6.15 7.13 29 6.15 7.13 29 6.14 7.13 30
1985 6.23 7.17 25 6.21 7.18 28 6.21 7.18 28
1986 6.23 7.26 34 6.22 7.25 34 6.20 7.24 35
1987 7.05 8.10 37 7.01 8.08 39 6.23 7.25 33
1988 6.23 7.28 36 6.23 7.27 35 6.22 7.28 37
1989 6.24 7.30 37 6.23 7.29 37 6.23 7.29 37
1990 6.19 7.27 39 6.19 7.19 31 6.18 7.17 30
1991 6.29 8.02 35 6.26 8.02 38 6.15 7.17 33
1992 7.02 7.31 30 7.09 7.23 15 6.22 7.20 29
1993 6.22 7.30 39 6.22 7.30 39 6.18 7.30 43
1994 6.25 7.16 22 6.22 7.06 15 6.17 7.01 15
1995 6.30 7.27 28 6.30 7.27 28 6.21 7.25 35
1996 6.24 7.22 29 6.24 7.22 29 6.19 7.16 28
1997 6.25 7.22 28 6.20 7.18 29 6.20 7.18 29
1998 6.25 7.28 34 6.24 7.28 35 6.12 7.28 47
1999 6.23 7.10 18 6.17 7.20 34 6.17 7.20 34
2000 6.22 7.19 28 6.21 7.16 26 6.16 7.16 31
2001 6.24 8.01 39 6.22 7.21 30 6.21 7.20 30
2002 6.23 7.24 32 6.23 7.23 31 6.19 7.22 34
2003 6.23 7.25 33 6.23 7.25 33 6.22 7.23 32
2004 6.25 7.18 24 6.24 7.17 24 6.24 7.11 18
2005 6.26 7.18 23 6.26 7.18 23 6.25 7.15 21
2006 6.21 7.29 39 6.21 7.29 39 6.14 7.26 43
2007 6.21 7.29 39 6.21 7.24 34 6.21 7.24 34
2008 6.17 7.26 40 6.17 7.26 40 6.14 7.04 21
2009 6.28 7.21 24 6.21 8.03 44 6.21 8.03 44
2010 6.26 7.28 33 6.18 7.28 41 6.17 7.28 42
2011 6.22 7.17 26 6.10 7.10 31 6.10 7.10 31
2012 6.29 7.17 19 6.18 7.17 30 6.18 7.17 30
2013 6.17 8.04 49 6.18 8.02 46 6.18 7.26 39
2014 7.02 7.29 28 7.02 7.29 28 6.17 7.28 42
2015 6.25 7.29 35 6.24 7.29 36 6.24 7.23 30
2016 6.24 7.30 37 6.18 7.16 29 6.18 7.16 29
2017 7. 1 7.29 29 6.29 7.29 31 6.24 7.26 33
2018 6.26 7.11 16 6.26 7.9 14 6.19 7.9 21
2019 6.26 7.29 34 6.26 7.28 33 6.26 7.19 24
2020 6.24 8.16 54 6.24 7.31 38 6.10 7.28 49
2021 7.3 7.19 17 7.3 7.19 17 7.3 7.19 17
2022 6.23 7.25 33 6.23 7.25 33 6.21 7.24 34
2023 6.26 7.26 31 6.25 7.26 32 6.25 7.25 31
평년 6.25 7.26 31.5 6.23 7.24 31.4 6.19 7.20 31.4
2024(예상) 6.25~
6.28
    6.23.~

    6.19. ~
6.24.
   

 

2024년 6월 날씨전망

 이동성 고기압의 영향을 주로 받겠으며, 남쪽을 지나는 기압골의 영향을 받을 때가 있겠습니다.

(월평균기온) 평년(21.1~21.7℃)보다 높을 확률이 50%입니다.

(월강수량) 평년(101.6~174.0㎜)과 비슷할 확률이 50%입니다.

 

2024년 7월 날씨전망 

북태평양고기압의 영향을 차차 받겠으며, 저기압의 영향으로 흐리고 비가 오는 날이 많겠습니다.

(월평균기온) 평년(24.0~25.2℃)과 비슷하거나 높을 확률이 각각 40%입니다.

(월강수량) 평년(245.9~308.2㎜)과 비슷하거나 많을 확률이 각각 40%입니다.

 

2024년 8월 날씨전망

북태평양고기압의 영향을 주로 받아 덥고 습하겠으며, 발달한 저기압과 대기불안정에 의해 많은 비가 내릴 때가 있겠습니다. (월평균기온) 평년(24.6~25.6℃)보다 높을 확률이 50%입니다.

(월강수량) 평년(225.3~346.7㎜)과 비슷하거나 많을 확률이 각각 40%입니다

 

비가 자주 올때, 강수의 이동 경로와 발생 현황등을 확인 할 수 있는 곳이 바로 기상청 홈페이지에서 레이더로 확인을 하면 바로 확인이 가능합니다. 

위치는 기상청 홈페이지(날씨누리)에서 우측 상산에 삼선 클릭 > 영상/일기도 탭 선택 > 레이더 선택을 하시면 우리지역의 강수 현황에 대하여 확인 할 수 있습니다. 

 

기상청 날씨누리 레이더 영상 바로가기

 

레이더 - 기상청 날씨누리

개편된 날씨누리 홈페이지 첫 화면에서 지도를 통한 실시간 기상정보와 레이더영상, 전국 특보 현황을 조회할 수 있으며, 내 지역의 현재 기상상황과 대기질 상태, 일출/일몰 시각을 확인할 수

www.weather.go.kr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