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상청에서 3개월 전망을 발표 했는데요, 기온예보를 봤을때 6월부터 평년보다 높을 가능성이 높다고 예보를 하였고, 7월 8월 모두 평년과 비슷하거나 높을 확률이 높다고 발표를 하였는데, 2024년에는 무더위가 심할것 같습니다. 열대야와 폭염이 쭉 이어질것같습니다. 무더위가 언제까지 이어질까 알아보고자 합니다.
2024년 열대야 언제끝날까? 무더위는 언제까지 열대야 기준은? 폭염더위는 언제까지?
6월 19일 서울에 낮최고기온이 35도로 폭염주의보를 발표 했는데요, 아직 장마전선이 올라오지 않아 낮에는 덥고 밤에는 선선한데요 장마가 시작되면서 무더위가 쭉이어질텐데요 무더위가 언제 끝날지 알아보겠습니다. 6월부터 더위가 시작되지만 진정한 무더위는 장마가 끝나가는 7월 중수부터 8월 말까지 상당히 조심해야 합니다. 이런 무더위는 일상 생활과 건강에 매우 큰 영향을 줄수 있기 때문에 미리미리 확인해두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2024년 무더위는 어떻게 될까?
기상청에서 발표한 3개월 예보 요약을 살펴 보면 6월과 8월은 평년보다 높은 확률이 50%, 7월은 평년과 비슷하거나 높을 확률이 각각 40%라고 합니다.
1. 6월 기온알아보기
6월에는 이동성 고기압의 영향을 주로 받겠고, 남족을 지나는 기압골의 영향을 받을 때가 많겠다고 합니다.
(월평균기온) 평년(21.1~21.7℃)보다 높을 확률이 50%로 발표 했는데요, 이는 일단 평년보다 높을것 같다는 의미로 생각하면 될것 같습니다.
2. 7월 기온알아보기
7월에는 북태평양고기압의 영향을 차차 받겠으며, 저기압의 영향으로 흐리고 비가 오는 날이 많겠다고 합니다.
(월평균기온) 평년(24.0~25.2℃)과 비슷하거나 높을 확률이 각각 40%로 발표 했는데요, 이는 평년과 비슷하겠지만 조금 높을 수도 있다는 의미로 생각하면 될것 같습니다.
3. 8월 기온알아보기
8월에는 북태평양고기압의 영향을 주로 받아 덥고 습하겠으며, 발달한 저기압과 대기불안정에 의해 많은 비가 내릴 때가 있겠다고 합니다.
(월평균기온) 평년(24.6~25.6℃)보다 높을 확률이 50%로 발표 했는데요, 이는 평년보다 높을 것 같다는 의미로 생각하면 될것 같습니다.
즉, 올 여름은 기상청 발표를 보면 상당히 더울 것으로 보여집니다.
열대야 기준은 어떻게 될까?
열대야 기준은 밤 18시부터 다음날 9시까지의 시간 동안 최저기온이 25℃ 이상인 것을 말합니다. 무더위를 느끼게 하는 이 열대야가 발생하면 체온 조절이 어려워져서 어지럼증, 두통, 가슴통증과 같은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심한 경우에는 열사병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열대야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충분한 수분 섭취, 가벼운 옷차림, 선풍기나 에어컨 사용, 야외 활동 자제 등이 필요합니다. 최근 몇 년 동안 대한민국의 여름철 기온이 높아지면서 열대야가 발생하는 날이 증가하고 있습니다.
최근 우리나라 평균적으로 나타난 열대야 일수를 알아보면 연평균적으로 6일정도 인데요, 과거에는 거의 볼수 없었던 6월 열대야가 22년부터는 심심치 않게 나타나는 것을 볼수 있습니다. 또한 최근 2년간 9월에도 열대야가 나타난 것을 알수 있습니다.
열대야 언제끝날까?
열대야 기준을 알아보는데 있어서 기상청의 통계를 활용했습니다. 기상청 자료는 전국을 통계로 해서 발표를 하기 때문에 전국자료와 그리고 서울을 기준으로 한 자료는 기상청이 제공하는 자료를 바탕으로 분석을 해봤습니다. 너무 예전 자료를 파악하는 것보다 최근 10년 정도를 기준으로 해서 분석을 해봤습니다. 정확히 표현하면 2012년부터 자료를 바탕으로 12년자료를 파악해보고 올해는 얼마나 더위가 나타날지 판단을 하면 좋을것 같습니다.
최근에 통계적으로나 지리적으로도 살펴보면, 전국적으로 보면 남쪽지역이 시작도 빠르고 끝나는 시기도 늦는데요 남쪽지방과 강원도 영동은 5월부터 시작, 중부지방은 6월 말 또는 7월초에 시작하고, 끝나는 시기는 남쪽은 9월에서 10월까지도 나타나는 것 같습니다. 서울의 경우에는 8월 28일이후부터는 나타나기 힘들지 않나 싶습니다. 하지만, 지난해(2023년)에는 88년만에 서울에서 9월에 열대야가 발생하기도 했기때문에 9월이면 무더위가 사라진다는 생각을 하기엔 이제는 어려워 보이긴합니다. 88년전에 기록을 진짜 믿을수 있을까 하지만, 그래도 공식 데이터로 생각하고 100년에 한번정도는 과거에 있었구나 생각하겠지만, 우리 기억속에는 처음이라고 할수 있겠습니다.
결론을 말씀드리며, 2023년 이전까지는 그래도 9월이면 선선해지겠구나 했지만 이제는 9월 초까지(중부지방, 제주도는 10월까지도) 무더위가 나타날 수 있다는 것을 어느정도 인식을 하실 필요가 있겠습니다.
전국 과거 14년간의 기록, 열대야 시작과 끝은 어떻게 될까?
연도 | 가장 빠른 열대야 |
가장 늦은 |
||
지점 | 날짜 | 지점 | 날짜 | |
2010 | 고창·고창군·광주·구미·수원·영광군·전주·정읍 | 2010-07-01 | 남해·북창원·서귀포·여수·의령군·창원시·통영 | 2010-09-21 |
2011 | 강릉 | 2011-06-21 | 김해시·부산·서귀포 | 2011-09-16 |
2012 | 포항 | 2012-07-03 | 김해시·부산·포항 | 2012-08-29 |
2013 | 강릉·서귀포·속초·제주·포항 | 2013-07-02 | 서귀포 | 2013-10-06 |
2014 | 제주 | 2014-05-27 | 서귀포 | 2014-09-02 |
2015 | 고창·고창군·목포·서울·인천·정읍 | 2015-07-10 | 포항 | 2015-08-23 |
2016 | 포항(bighand) | 2016-07-01 | 제주·통영(bighand) | 2016-08-31 |
2017 | 강릉·경주시·영덕·영천·포항 | 2017-06-30 | 서귀포·제주 | 2017-09-05 |
2018 | 포항 | 2018-05-16 | 고산 | 2018-09-02 |
2019 | 강릉 | 2019-05-24 | 거제·서귀포 | 2019-09-10 |
2020 | 강릉 | 2020-06-08 | 북창원·양산시·창원시·포항 | 2020-09-02 |
2021 | 고산·서귀포·성산·제주 | 2021-07-05 | 성산 | 2021-10-03 |
2022 | 강릉 | 2022-06-17 | 포항 | 2022-10-03 |
2023 | 밀양·의령군·제주 | 2023-06-26 | 고산·서귀포·성산 | 2023-09-15 |
전국적으로 자료를 분석해보면, 가장빨리 나타났던 해는 2018년 5월 16일 포항에서 나타났었는데요, 올해역시 강릉에서 5월 16일에 열대야를 기록했다고 합니다. 그리고 제주도와 남쪽지역은 10월까지도 열대야가 나타났었습니다. 가장 늦게까지 나타난 것은 2013년 서귀포에서 10월 6일까지 나타났난것이 가장 길었습니다. 전국적으로 열대야 시작은 6월 말부터는 나타나는 것으로 보이고, 열대야가 마지막까지 나타나는 것은 10월 초까지는 나타나는 것(포항, 제주도 두곳)으로 보여집니다.
서울의 과거 14년간의 기록, 열대야 시작과 끝은 어떻게 될까?
전국으로 보면 위 표를 참고하면 될것 같은데요, 우리나라의 사람이 가장 많이 사는 곳인 서울(이제는 경기도일수 있겠지만)일다는 서울을 기준으로 해서 말씀드려보도록 하겠습니다. 경기도를 기준으로 한다면 여러 지역을 분석을 해봐야 하기 때문에 서울을 기준으로 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연도 | 가장 빠른 | 가장 늦은 | ||
지점 | 날짜 | 지점 | 날짜 | |
2010 | 서울 | 2010-07-18 | 서울 | 2010-08-22 |
2011 | 서울 | 2011-07-30 | 서울 | 2011-08-11 |
2012 | 서울 | 2012-07-22 | 서울 | 2012-08-27 |
2013 | 서울 | 2013-07-15 | 서울 | 2013-08-21 |
2014 | 서울 | 2014-07-08 | 서울 | 2014-08-04 |
2015 | 서울 | 2015-07-10 | 서울 | 2015-08-07 |
2016 | 서울 | 2016-07-21 bighand |
서울 | 2016-08-23 bighand |
2017 | 서울 | 2017-07-11 | 서울 | 2017-08-23 |
2018 | 서울 | 2018-07-11 | 서울 | 2018-08-22 |
2019 | 서울 | 2019-07-19 | 서울 | 2019-08-14 |
2020 | 서울 | 2020-08-4 | 서울 | 2020-08-28 |
2021 | 서울 | 2021-07-12 | 서울 | 2021-08-05 |
2022 | 서울 | 2022-06-26 | 서울 | 2022-08-21 |
2023 | 서울 | 2023-06-28 | 서울 | 2023-09-04 |
서울을 기준으로해서 분석을 해보면 2010년이후부터 는 대부분 7월 에는 시작을 했었고, 2020년에만 8월4일에 시작을한것으로 보입니다. 가장빨리 시작한 것은 2022년 6월 26일에 나타났습니다. 가장 늦게까지 나타났던 날짜는 작년인 2023년 9월 4일이 되겠는데, 서울은 일반적으로 7월 초중순에 시작해서 8월 중후반에는 종료가되는 것으로 보입니다. 그리고 23년 이전까지는 9월 이전에 열대야가 종료되는 것으로 보였으나, 2023년도에 처음으로 서울에 열대야가 9월에까지 나타났었기 때문에 9월 초까지는 잠못이루는 밤이 어느정도 나타날수도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계절의 차이를 무시할 수 없는것이 그렇게 뜨거웠던 여름이지만 9월이 되면 언제 더웠냐하듯 열기가 사그라지는 것 같아 자연의 위대함을 경험하게 됩니다.
하지만 이대로 탄소 배출이 이어진다면 기후변화 시나리오에 따르면 21세기 후반에는 폭염일수나 열대야 일수가 지금이 몇배가 더 많아진다고 합니다. 아직 먼미래라고 생각이 되겠지만, 최근 경향도 점차 늘어나는 추세이기 때문에 탄소를 줄여야 하는것도 중요하고, 온열질환에 대비하는 자세를 갖어야 하겠습니다.
또한, 장마철 전에 나타나는 무더위는 짧게 끝나지만, 장마가 끝나고 북태평양 고기압이(고온다습한) 한반도를 뒤덮게 되면 강한 일사와 함께 많은 열기가 더해져 강한 더위가 지속되게됩니다. 따라서 7월 부터 8월까지는 본격적인 더위 시즌이기 때문에 기상청에서 장마가 어느정도 끝난것 같다라고 한다면, '아, 이제는 무더위가 시작되겠구나'라고 생각하시면 되지 않을까 합니다.
올해도 폭염과 열대야로 인하여 인평피해를 입지 않기위해 예방을 철저히 하시고 기상청 특보나, 폭염 영향예보 등을 잘 보시고 대응 하시어 현명한 여름나기가 되길 바라겠습니다.
영향예보 - 기상청 날씨누리
지역선택 전국 서울,인천,경기도 부산,울산,경상남도 대구,경상북도 광주,전라남도 전라북도 대전,세종,충청남도 충청북도 강원도 제주도 선택
www.weather.go.kr
폭염특보 발표시 주의사항
폭염으로 인한 건강피해는 사람마다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높은 온도에 노출되면 열사병, 무기력, 두통 등과 같은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노인, 소아 등의 취약계층은 사망에도 이어질 수 있으므로 여름철에는 항상 기상상황을 주시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폭염주의보가 발효되는 날에는 되도록 실외 활동을 줄의는 것이 좋습니다. 특히 온도가 높은 오후 12~4시에는 야외활동을 삼가하는 것이 좋습니다. 밖에서 근무할 경우에는 더위로 인한 온열질환에 걸릴 위험이 있으므로 각별한 주의가 더 필요합니다. 매시간 그늘에서 휴식을 자주 취해고 충분한 수분 섭취를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물은 많이 마시되, 카페인이 들어간 음료는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냉방이 되지 않은 실내에서는 햇빛이 들어오지 않도록 창문을 가리고 맞바람이 불도록 환기를 하며 선풍기를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폭염주의보가 발효되기 전에는 무더위에 필요한 물품을 미리 준비하는 것이 좋습니다. 에어컨, 선풍기를 정비하고 외출하는 경우를 대비해서 미리 창이 긴 모자, 양산 등을 준비하셔야 합니다.
더운 날씨에는 소화가 잘 되는 가벼운 음식을 섭취하는 것이 좋습니다. 신선한 과일과 채소, 특히 수분 함량이 높은 음식을 많이 먹으세요. 무더위 속에서는 기름진 음식이나 과식을 피하고, 여러 번 소량으로 나누어 식사하는 것이 좋습니다.
통기성이 좋은 옷을 입어 체온을 조절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밝은 색상의 얇은 옷을 선택하고, 모 자와 선글라스를 착용해 직사광선을 피하세요. 외출 시에는 자외선 차단제를 반드시 발라 피부를 보호하시기 바랍니다.
운동은 건강을 유지하는 데 중요하지만, 무더위 속에서는 시간과 장소를 잘 선택해야 합니다. 아 침이나 저녁, 비교적 기온이 낮은 시간대에 운동하고, 실내 운동을 고려해 보세요. 운동 중에는 충 분한 수분을 섭취하고, 과도한 운동은 피해야 합니다.
은행 무더위 쉼터 알아보기(은행편)
무더위 쉼터 참여 은행은 하나은행, 신한금융그룹(은행 및 전국 영업점), 우리은행, NH농협은행, 광주은행(노령층 대상)이라고 합니다.
1) 하나은행은 전국 563개 모든 영업점에서 9월까지 오전 9시부터 오후 4시까지 무더위 쉼터를 운 영합니다.
2) 신한금융그룹은 은행을 포함한 전국 591개 영업점에서 9월까지 오전 9시부터 4시까지 무더위 쉼터를 운영합니다.
3) 우리은행은 전국의 모든 영업점에서 9월 말까지 오전 9시 ~ 오후 4시까지 쉼터를 운영합니다.
4) 가장 많은 영업점(1000개 이상)이 있는 NH농협은행도 전국 영업점에서 9월 30일까지 오전 9시 ~ 오후 4시까지 무더위 쉼터를 운영합니다.
5) 광주은행은 9월까지 127개 전 영업점에서 고령층을 대상으로 운영한다고 합니다.
2024년 장마 시기 알아보기
2024년 장마시작 제주도 평년과 비슷하게 시작 남부지방 중부지방은 언제 시작할까? 부산등 일부
6월 말이면 우리나라에 장맛비로 많은 사람들에게 영향을 주는 기상현상이 있는데요, 그리고 여름만 되면 사람들은 휴가를 계획하고 비를 피해 좋은 날씨에 여행을 가고자 장마시기를 피하려고
bighand0517.tistory.com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