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름을 알리는 장마가 시작되고, 장마가 끝나면 무더위가 찾아오는데요 장마가 시작되기 전부터 낮에는 폭염으로 잠을 이루기 힘들지만, 밤잠까지 설치게 하는 열대야는 조금 뒤늦게 나타나게 됩니다. 최근 폭염과 열대야가 점점 늘어가는 데요 올해는 얼마나 더울지 언제까지 더울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그리고 폭염과 열대야 기준은 어떻게 될까요?
올해 열대야 폭염 언제 끝날까? 언제까지? 폭염과 열대야 기준은 어떻게 될까?
낮의 더위는 일하면서 그리고 씻고나면 어느정도 해결을 할 수 있지만, 밤까지 더위가 나타나면 밤잠을 설치게되고, 이렇게 잠을 설친 사람들은 다음날 출근을 하거나 학교를 가거나 집안일을 할때 몽롱한 하루를 보내게 됩니다. 이럴때 어떻게 대처를 해야 하는지, 열대야의 기준은 어떻게 되고 언제 시작해서 언제끝날것인지, 폭염은 어떻게 되는지 알아보겠습니다.
폭염특보와 열대야 기준에 대하여
폭염은 한자 뜻으로 사나울 '폭', 불꽃 '염'을 써서 단순한 더위가 아닌 매우 심한 더위를 뜻합니다. 각 나라마다 폭염을 대하는 기준이 다를수 있지만, 우리나라의 폭염특보와 열대야의 정의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폭염특보는 기상청에서 발표를 하고 폭염 주의보와 폭염 경보를 발표합니다. 정량적인 발표 기준과 정성적인 발표 기준이 있지만 정성적인 발표 기준은 제외토록 하겠습니다.
1) 폭염 주의보: 일 최고 체감온도 33℃이상이 2일 이상 지속될 것으로 예상될 때 발표 합니다.
2) 폭염 경보: 일 최고 체감온도 35℃이상이 2일 이상 지속될 것으로 예상될 때 발표 합니다.
과거에는 단순히 표시되는 기온을 기준으로 발표를 했지만, 현재는 습도를 고려한 체감온도를 기준으로 발표를 합니다. 폭염 주의보가 좀 덜 한것이고 폭염 경보가 심각한 수준이다 생각하면되겠습니다.
3) 열대야 기준: 밤최저기온이 25℃이상인 날로 정의 하는데, 전날 오후 6시부터 다음날 오전 9시까지 최저기온이 25℃밑으로 떨어지지 않는 기상현상을 열대야라고 합니다.
올해 서울의 첫 열대야는 지난해보다 7일이 빠른 기록으로 6월 22일에 기록하였고, 기상관측을 시작한 1907년 이후 가장 이른 기록이라고 합니다.
열대야 언제끝날까?
기준에있어서 기상청의 통계를 활용했습니다. 기상청 자료는 전국을 통계로 해서 발표를 하기 때문에 전국자료와 그리고 서울을 기준으로 한 자료는 기상청이 제공하는 자료를 바탕으로 분석을 해봤습니다. 최근 10년 정도를 기준으로 해서 분석을 해봤습니다. 정확히표현하면 2012년부터 자료를 바탕으로 12년자료를 파악해보고 올해 대비를 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기후적으로 보면, 전국적으로 보면 남쪽지역이 시작도 빠르고 끝나는 시기도 늦는데요 남쪽과 강원도 영동은 5월부터 시작, 중부지방은 6월 말 또는 7월초에 시작하고, 끝나는 시기는 남쪽은 9월에서 10월까지도 나타나는 것 같습니다. 서울의 경우에는 8월 28일이후부터는 나타나기 힘들지 않나 싶습니다.
(출처: 기상청)
전국의 열대야 시작과 끝
연도 | 가장 빠른 열대야 |
가장 늦은 |
||
지점 | 날짜 | 지점 | 날짜 | |
2010 | 고창·고창군·광주·구미·수원·영광군·전주·정읍 | 2010-07-01 | 남해·북창원·서귀포·여수·의령군·창원시·통영 | 2010-09-21 |
2011 | 강릉 | 2011-06-21 | 김해시·부산·서귀포 | 2011-09-16 |
2012 | 포항 | 2012-07-03 | 김해시·부산·포항 | 2012-08-29 |
2013 | 강릉·서귀포·속초·제주·포항 | 2013-07-02 | 서귀포 | 2013-10-06 |
2014 | 제주 | 2014-05-27 | 서귀포 | 2014-09-02 |
2015 | 고창·고창군·목포·서울·인천·정읍 | 2015-07-10 | 포항 | 2015-08-23 |
2016 | 포항 | 2016-07-01 | 제주·통영 | 2016-08-31 |
2017 | 강릉·경주시·영덕·영천·포항 bighand |
2017-06-30 | 서귀포·제주 bighand |
2017-09-05 |
2018 | 포항 | 2018-05-16 | 고산 | 2018-09-02 |
2019 | 강릉 | 2019-05-24 | 거제·서귀포 | 2019-09-10 |
2020 | 강릉 | 2020-06-08 | 북창원·양산시·창원시·포항 | 2020-09-02 |
2021 | 고산·서귀포·성산·제주 | 2021-07-05 | 성산 | 2021-10-03 |
2022 | 강릉 | 2022-06-17 | 포항 | 2022-10-03 |
2023 | 밀양·의령군·제주 | 2023-06-26 | 고산·서귀포·성산 | 2023-09-15 |
전국적으로 자료를 분석해보면, 가장빨리 나타났던 해는 2018년 5월 16일 포항에서 나타났었는데요, 올해역시 강릉에서 5월 16일에 열대야를 기록했다고 합니다. 그리고 제주도와 남쪽지역은 10월까지도 열대야가 나타났었습니다. 가장 늦게까지 나타난 것은 2013년 서귀포에서 10월 6일까지 나타났난것이 가장 길었습니다. 전국적으로 열대야 시작은 6월 말부터는 나타나는 것으로 보이고, 열대야가 마지막까지 나타나는 것은 9월 초까지는 나타나는 것으로 보여집니다.
서울의 열대야 시작과 끝
전국으로 보면 위 표를 참고하면 될것 같고, 다음으로는 서울을 기준으로 해서 말씀드려보도록 하겠습니다.
연도 | 가장 빠른 | 가장 늦은 | ||
지점 | 날짜 | 지점 | 날짜 | |
2010 | 서울 | 2010-07-18 | 서울 | 2010-08-22 |
2011 | 서울 | 2011-07-30 | 서울 | 2011-08-11 |
2012 | 서울 | 2012-07-22 | 서울 | 2012-08-27 |
2013 | 서울 | 2013-07-15 | 서울 | 2013-08-21 |
2014 | 서울 | 2014-07-08 | 서울 | 2014-08-04 |
2015 | 서울 | 2015-07-10 | 서울 | 2015-08-07 |
2016 | 서울 | 2016-07-21 | 서울 | 2016-08-23 |
2017 | 서울 | 2017-07-11 | 서울 | 2017-08-23 |
2018 | 서울 | 2018-07-11 | 서울 | 2018-08-22 |
2019 | 서울 | 2019-07-19 | 서울 | 2019-08-14 |
2020 | 서울 | 2020-08-4 | 서울 | 2020-08-28 |
2021 | 서울 | 2021-07-12 | 서울 | 2021-08-05 |
2022 | 서울 | 2022-06-26 | 서울 | 2022-08-21 |
2023 | 서울 | 2023-06-28 | 서울 | 2023-09-04 |
2024 | 서울 | 2024-06-22 |
서울을 기준으로해서 분석을 해보면 2010년이후부터 는 대부분 7월 에는 시작을 했었고, 2020년에만 8월4일에 시작을한것으로 보입니다. 가장빨리 시작한 것은 2024년 6월 22일에 나타났습니다. 가장 늦게까지 나타났던 날짜는 작년인 2023년 9월 4일이 되겠는데, 서울은 일반적으로 7월 초중순에 시작해서 8월 중후반에는 종료가되는 것으로 보입니다. 그리고 23년 이전까지는 9월 이전에 열대야가 종료되는 것으로 보였으나, 2023년도에 처음으로 서울에 열대야가 9월에까지 나타났었기 때문에 9월 초까지는 잠못이루는 밤이 어느정도 나타날수도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전국 폭염의 시작과 끝
연도 | 가장 빠른 | 가장 늦은 | ||
지점 | 날짜 | 지점 | 날짜 | |
2010 | 영월 | 2010-06-06 | 경주시·대구·밀양·순천·영천·제주·주암·포항·합천 | 2010-09-21 |
2011 | 전주 | 2011-06-11 | 광양시·광주·남원·순창군·순천·완도·임실·장흥·주암·해남 | 2011-09-17 |
2012 | 의령군 | 2012-05-27 | 김해시·동두천·문산·수원·파주·홍천 | 2012-08-27 |
2013 | 대구·울산 | 2013-05-13 | 전주 | 2013-09-18 |
2014 | 경주시·영덕 | 2014-05-24 | 광양시 | 2014-08-26 |
2015 | 강릉·거제·경주시·광양시·광주·구미·김해시·남해·대구·대구(기)·마산·밀양·북강릉·북창원·산청·상주·안동·양산시·영덕·영월·영천·의령군·의성·진주·창원·창원시·청송군·함양군·합천 | 2015-05-26 | 대전·수원·영월·영주·충주·홍천 | 2015-08-18 |
2016 | 홍천 | 2016-05-22 | 광주 | 2016-09-04 |
2017 | 강릉·북강릉·속초·울진·의령군·합천 | 2017-05-19 | 밀양 | 2017-08-29 |
2018 | 울진·의성·포항 | 2018-04-21 | 제주 | 2018-08-31 |
2019 | 강릉·경주시·구미·금산·대구·밀양·보은·북춘천·산청·상주·서울·영덕·영월·영천·의성·이천·정선군·제주·제천·청송군·청주·춘천·충주·포항·합천·홍천 | 2019-05-24 | 의성 | 2019-09-10 |
2020 | 거창·경주시·구미·대구·밀양·영천·울진·의령군·의성·청송군·포항·합천 | 2020-06-04 | 고창·고창군·순창군·정읍·해남 | 2020-08-31 |
2021 | 대구·밀양·의령군·함양군 | 2021-06-08 | 제주 | 2021-09-01 |
2022 | 경주시·밀양·양산시 | 2022-05-22 | 광양시·서귀포 | 2022-09-19 |
2023 | 강릉·경주시·구미·대구·동해·북강릉·산청·상주·속초·울진·의령군·의성·포항 | 2023-05-16 | 정선군 | 2023-09-10 |
서울 폭염의 시작과 끝
연도 | 가장 빠른 | 가장 늦은 | ||
지점 | 날짜 | 지점 | 날짜 | |
2010 | 서울 | 2010-08-05 | 서울 | 2010-08-09 |
2011 | 서울 | 2011-07-18 | 서울 | 2011-08-07 |
2012 | 서울 | 2012-06-19 | 서울 | 2012-08-09 |
2013 | 서울 | 2013-08-11 | 서울 | 2013-08-21 |
2014 | 서울 | 2014-05-31 | 서울 | 2014-08-02 |
2015 | 서울 | 2015-06-10 | 서울 | 2015-08-08 |
2016 | 서울 | 2016-07-10 | 서울 | 2016-08-23 |
2017 | 서울 | 2017-06-23 | 서울 | 2017-08-07 |
2018 | 서울 | 2018-07-15 | 서울 | 2018-08-22 |
2019 | 서울 | 2019-05-24 | 서울 | 2019-08-14 |
2020 | 서울 | 2020-06-13 | 서울 | 2020-08-26 |
2021 | 서울 | 2021-07-14 | 서울 | 2021-08-09 |
2022 | 서울 | 2022-07-02 | 서울 | 2022-07-30 |
2023 | 서울 | 2023-06-19 | 서울 | 2023-08-21 |
폭염은 열대야보다 조금 다르게 일찍 시작해서 조금 일찍 마무리됩니다. 낮기온이 높은 이유는 일사와 북태평양 고기압이 자리 잡아서 덥다가 점점 북태평양 고기압의 세력이 약해지면서 기온이 많이 오르지 못하는 현상이 발생합니다.
계절의 차이를 무시할 수 없는것이 그렇게 뜨거웠던 여름이지만 9월이 되면 언제 더웠냐하듯 열기가 사그라지는 것 같아 자연의 위대함을 경험하게 됩니다.
하지만 이대로 탄소 배출이 이어진다면 기후변화 시나리오에 따르면 21세기 후반에는 폭염일수나 열대야 일수가 지금이 몇배가 더 많아진다고 합니다. 아직 먼미래라고 생각이 되겠지만, 최근 경향도 점차 늘어나는 추세이기 때문에 탄소를 줄여야 하는것도 중요하고, 온열질환에 대비하는 자세를 갖어야 하겠습니다.
또한, 장마철 전에 나타나는 무더위는 짧게 끝나지만, 장마가 끝나고 북태평양 고기압이(고온다습한) 한반도를 뒤덮게 되면 강한 일사와 함께 많은 열기가 더해져 강한 더위가 지속되게됩니다. 따라서 7월 부터 8월까지는 본격적인 더위 시즌이기 때문에 기상청에서 장마가 어느정도 끝난것 같다라고 한다면, '아, 이제는 무더위가 시작되겠구나'라고 생각하시면 되지 않을까 합니다.
올해도 폭염과 열대야로 인하여 인평피해를 입지 않기위해 예방을 철저히 하시고 기상청 특보나, 폭염 영향예보 등을 잘 보시고 대응 하시어 현명한 여름나기가 되길 바라겠습니다.
영향예보 - 기상청 날씨누리
지역선택 전국 서울,인천,경기도 부산,울산,경상남도 대구,경상북도 광주,전라남도 전라북도 대전,세종,충청남도 충청북도 강원도 제주도 선택
www.weather.go.kr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