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금융

한미 통화스와프 체결 600억 달러; 통화스와프란?

by 찌아*@ 2020. 3. 20.
반응형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로 인한 팬데믹현상과, 유가전쟁과 같은 외부요인으로 외환시장은 요동치는 가운데, 코스피 시장의 폭락과 치솟는 달러 환율로 1,280원을 돌파하여  1,500원 까지 도 가능하다는 일부 경제학자들의 주장을 받아 들여, 한국 은행은 19일 오후 10시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Fed)와 600억달러 상당의 양자 간 통화 스와프 계약을 체결하기로 했다고 전해집니다. 기간은 2020년 9월 19일까지 최소 6개월입니다. 한미 통화스와프는 예전에도 실시한 적이 있었습니다. 통화 스와프(Currency swap)란, 토화교환(swap)의 형식을 이용하여 단기적인 자금 융통을 이행하기로 하는 약속을 뜻합니다. 여기서 스와프(swap)는 '바꾸다, 교환하다.'라는 의미입니다. 국가 간 통화스와프 협정은 필요한 두 나라가 자국 통화를 상대국 통화와 맞교환 하는 방식으로 이루어 집니다. 

 

 

 

    통화 스와프 의미

국가 간 외환거래의 방법으로, 외환 시세의안정을 도모햐기 위하여 서로 다른 토오하를 사용하는 국가들이 협정을 체결하고 상대방의 통화를 약정된 환율로 거래하는 것을 말합니다. 계약의 주체는 두 나라의 중앙은행이며, 일시적으로 부족한 외환을 안정적으로 조달할 수 있고, 시세변동에 따른 위험성을 줄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한국은 2020년 3월 기준 미국, 중국, 캐나다 등 8개 국가와 양자 토오하 스와프를, 아세안국가와 한.중.일 3국이 참여한 다자간 통화 스와프 체결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토화 스와프 계약기간은 3~6개월인 경우가 많다고 합니다. 통화 스와프 계약이 체결되면 계약기간 동안에는 언제라도 계약한도 금액 이내에서 상대국의 통화를 계약당시 환율로 가져다 쓸 수 있기 때문에 시세 변동에 따른 위험성을 줄일 수 있습니다. 다만, 외환을 더 필요로 하는 국가의 통화가 일반적으로 저평가되는 불이익을 감수해야 하는데, 그렇지만 통화 스와프는 일시적으로 외환수요가 증가하거나 외환보유고가 감소할 때 외환을 안정적으로 조달할 수 있다는 장점 때문에 2008년 글로벌 경제위기 이후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습니다. 

 

한국은 2002년 필리핀.타이.말레이사아와 각각 10억 달러 규모의 통화 스와프를, 중국과는 20억 달러의 통화 스와프를 체결했으며, 일본과는 2006년 기존 통화 스와프를 갱신하여 100억 달러 규모의 통화 스와프를 체결했으나 2015년 독도 문제를 빌미로 중단되었다. 2008년에는 미국과 체결한 300억 달러의 통화 스와프를 통해 외환시장을 안정시킨 히스토리가 있습니다. 

 

 

중국 3,600억 위안/64조 원
(약 560억 $)
2017.10.11.~2020.10.10.
캐나다 한도 없음 2017.11.15. 상설계약
스위스 100억 프랑/11.2조 원
(약 106억 $)
2018.2.20.~2021.3.1.
UAE 200억 디르함/6.1조 원
(약 54억 $)
2019.4.13.~2022.4.12.
말레이시아 150억 링깃/5조 원
(약 47억 $)
2020.2.3.~2023.2.2.
오스트레일리아 120억 호주$/9.6조 원
(약 81억 $)
2020.2.6.~2023.2.5
인도네시아 115조 루피아/10.7조 원
(약 100억 $)
2020.3.6~2023.3.5.
미국 600억 $ 2020.3.19~2020.9.19
CMIM* 총 2,400억 $ 중
한국 분담 및 수혜 384억 $
2014.7.17.~

한국 통화 스와픠 체결 현황/ CMIM: 동남아국가연합(ASEAN) 회원국 및 한.중.일 3국의 다자간 통화 스와프 계약.

 

 

    한-미 통화스와프 체결

한미 통화스와프 체결이 이번이 처음은 아닙니다. 한미 통화스와프는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당시 한번 했었던 적이 있습니다. 당시 규모는 300억 달러였습니다. 그리고 12년이 지난 지금 통화 스와프의 규모는 2배가 늘어난 600억 달러를 체결하였습니다. 

 

세계 경제흐름이 위기라고 판단한 정부가 달러 유동성을 최대한 확보를 하여 불안심리와 경제불안을 완화하고자 이전보다 더 2배 더큰 구모의 통화스와프를 채결한 것으로 보입니다. 

 

2008년 당시 원달러 환율이 1,468원까지 올랐던 기억이 있는데요, 당시 원달러환율이 오르면서 달러의 유동성에 문제가 생겼고 많은 기업들은 불안감에 휩싸이게 되었습니다. 이에 정부가 한미 통화스와프를 채결하여 원달러 환율을 1100원대 까지 완화 시켰었습니다. 이번 조치도 지난 경험을 통한 완화를 기대하기 위함입니다.

 

한미통화스와프 협정을 예로 쉽게 말하자면 이는'한국은행이 미국 FRB에 600억 달러를 인출한도로 한 마이너스통장을 만든'것과 같다고 볼수 있습니다. 한국과 미국의 중앙은행은 미리 정한 한도까지 상대국 통화를 빌려다 쓸 수 있다는 이야기입니다. 인출시 역시 만기가 아니라 계약기간 중 어느 때나 가능합니다. 2008년 10월 ~ 2010년 2월까지 이어진 한미 통화스와프 협정을 통해 우리나라는 총 160억 달러가 넘는 돈을 빌려 섰었는데요, 그럼 빌려간 달러를 되갚을 때는 어떤 교환 비율을 적용할까요? 미국이 주도한 통화스와프 협정의 경우 변제 시 서로 예치하였던 때, 즉 처음 스와프 협정을 맺을 때의 환시세를 적용해 이후 시세변동의 위험을 피하도록 했습니다. 

 

통화스와프는 조달된 달러가 외국환은해들에 공급되면서 금융시장에 대한 불안감과 달러의 부족이 상당부분 해결될 것으로 보입니다. 하지만 장점만 있는 것은 아니고, 단점은 비용문제로 꼽을 수 있습니다. 통화스와프는 요청하는 국가에서 해당 비용을 모두 지불해야 합니다. 또 환율은 계속해서 변화하기 때문에 통화스와프 이후 손해를 볼지 이익을 얻을지 예측이 불가능하다는 점을 꼽을 수 있지만 지난 2008년 글로벌 경제위기를 안정화 시킨 경험을 바탕으로 이번 경제위기도 현명하게 해쳐나가기를 희망합니다. 

반응형

댓글